맨위로가기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는 기원전 367년에 태어나 기원전 283년에 사망한 인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측근이자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창시자이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이집트 총독을 거쳐 스스로 파라오가 되어 이집트를 통치하며 헬레니즘 문화를 발전시켰다. 그는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활약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건립 등 문화 부흥에도 기여했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군사적, 정치적 능력을 발휘하여 이집트를 안정적으로 통치했으며, 사후에는 신과 같은 존재로 추앙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세기 이집트 사람 - 에우클레이데스
    에우클레이데스는 기원전 300년경 고대 그리스 수학자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을 통해 유클리드 기하학의 기초를 다지고 유클리드 호제법, 소수의 무한성 증명 등 수론에도 기여하여 서양 수학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4세기 이집트 사람 - 로도스의 멘토르
    로도스의 멘토르는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용병 장군으로, 페르시아 제국에서 이집트 침공에 기여한 후 서방 사령관으로 활동했으며, 그의 형제 멤논이 그의 지위를 계승했다.
  • 마케도니아 왕국의 역사가 - 안티파트로스
    안티파트로스는 기원전 4세기 마케도니아 왕국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섬겼으며, 특히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 기간 동안 마케도니아 본국의 섭정을 맡아 왕국을 통치하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에는 제국 섭정이 되어 권력 분립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 마케도니아 왕국의 역사가 - 히에로뉴모스 (카르디아)
    히에로니모스 (카르디아)는 헬레니즘 시대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알렉산더 대왕 사후 디아도코이 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후계자 역사》의 저자이며, 에우메네스의 비서로 시작해 안티고노스 왕조를 섬기며 정치적 입지를 다지고 권력자들의 신임을 얻었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기본 정보
이름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로마자 표기Ptolemaios Sōtēr
그리스어 표기Πτολεμαῖος Σωτήρ
역할왕, 파라오
왕국프톨레마이오스 왕국
통치 기간기원전 305년 – 기원전 282년 1월
이전 통치자알렉산드로스 4세
다음 통치자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
출생일기원전 367년경
사망일기원전 282년 1월
사망 장소알렉산드리아,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출생지에오르다이아, 마케도니아, 그리스
아버지라고스
어머니아르시노에
가족 관계
배우자타이스
아르타카마
에우리디케
베레니케 1세
자녀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
멜레아게르
아르시노에 2세
필로테라
리산드라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
베레니케
에이레네
라구스
레온티스쿠스
프톨레마이스
이집트 파라오 칭호
호루스 이름'위대한 힘, 용감한 왕'
네브티 이름'자신의 힘으로 빼앗은 자, 실레의 통치자'
즉위명'라에게 선택받은 자, 아문에게 사랑받는 자'
본명프톨레미
이미지
프톨레마이오스 1세 흉상
루브르 박물관 소장 프톨레마이오스 1세 흉상

2. 생애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기원전 367년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났다.[3] 어머니는 아르시노에였고, 아버지는 라구스라는 귀족이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그가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의 사생아라고 주장하며, 이 경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복형제가 된다.[5]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원정에 참여한 프톨레마이오스는 이스소스 전투 등에서 활약했고, 시와 오아시스에서 알렉산드로스가 제우스의 아들로 선포되는 것을 목격했다.[8] 베수스를 체포하는 데 공을 세우기도 했다.[9]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자, 바빌론 회의에서 이집트 사트라프(총독)로 임명되었다.[10]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시신을 알렉산드리아에 안치하고,[11] 섭정 페르디카스와 대립했다.[12] 클레오메네스를 처형하고 그의 재산을 차지하기도 했다.[12]

기원전 321년 페르디카스의 이집트 침공을 막아낸 프톨레마이오스는[13]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이집트를 지키고 키레나이카, 키프로스, 시리아를 확보하려 했다. 기원전 318년 시리아를 점령하고 키프로스를 보호령으로 삼았으나,[14][15] 안티고노스 1세와 대립하여 시리아에서 물러났다. 기원전 313년 키프로스를 재정복하고 키레네의 반란을 진압했다.

기원전 312년 가자 전투에서 데메트리오스를 격파했지만, 결국 시리아에서 다시 퇴각했다.[16] 기원전 311년 평화가 깨지고, 기원전 309년 리키아카리아의 해안 도시들을 점령했다. 기원전 306년 살라미스 해전에서 패배하여 키프로스를 잃었다.

기원전 305년 왕을 칭한 프톨레마이오스는 안티고노스의 이집트 침공을 막아내고, 로도스 포위전에서 로도스를 지원하여 '소테르(구원자)' 칭호를 얻었다.[16] 기원전 301년 이프수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가 전사하자 시리아를 다시 점령했다. 그러나 시리아 소유권을 두고 셀레우코스 왕조와 갈등이 계속되었다.

기원전 305년 스스로 파라오로 즉위한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34] 알렉산드리아무세이온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건설하고,[34]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건설을 시작했다.[34] 결혼 동맹으로 외교 관계를 강화했다.

기원전 290년 베레니케 1세를 여왕으로 세우고, 기원전 285년 프톨레마이오스 2세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다. 기원전 283년 사망하여 왕위를 아들에게 물려주었다.

2. 1. 초기 생애와 경력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기원전 367년에 고대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났다.[3] 그의 어머니는 아르시노에였다. 표면적으로 프톨레마이오스의 아버지는 라구스라는 에오르다이아 출신의 마케도니아 귀족이었지만, 많은 고대 자료에서는 그가 실제로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의 사생아였다고 주장한다. 만약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프톨레마이오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복형제가 된다. 이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미화하기 위해 나중에 만들어진 신화일 가능성이 높다.[5]

그는 알렉산드로스의 첫 원정부터 그와 함께 복무했으며, 알렉산드로스의 7명의 ''소마토필라케스''(경호원) 중 한 명이었다. 아프가니스탄인도의 후기 원정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했다. 이스소스 전투에 참여하여 파르메니온의 지휘 아래 좌익을 지휘했다. 후에 그는 시와 오아시스신탁으로 가는 알렉산드로스의 여정에 동행하여, 알렉산드로스가 제우스의 아들이라고 선포되는 것을 목격했다.[8] 프톨레마이오스는 반란을 일으킨 베수스에 대한 원정 중에 처음으로 독립적인 지휘권을 얻었는데, 그의 친위병들이 베수스를 사로잡아 프톨레마이오스에게 넘겼고, 프톨레마이오스는 그를 알렉산드로스에게 넘겨 처형하게 했다.[9]

2. 2.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후계자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바빌론 회의에서 프톨레마이오스는 이집트의 사트라프(총독)로 임명되었다.[10]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시신을 확보하여 멤피스를 거쳐 알렉산드리아에 안치했는데[11], 이는 그의 권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원래 알렉산드로스는 고대 리비아의 시와 오아시스에 있는 제우스 암몬 신전에 묻히기를 원했지만[10], 그의 후계자들은 시신을 마케도니아에 매장하려 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시신을 이집트로 가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묘를 건설했다.[11] 이 과정에서 그는 제국의 섭정이었던 페르디카스와 갈등을 빚었다.[12] 페르디카스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왕위를 노리고 있다고 의심했고, 그를 가장 위험한 라이벌로 여겼을 것이다.

프톨레마이오스는 페르디카스를 위해 스파이 활동을 한 클레오메네스를 처형하여 자신의 권위에 대한 주요 견제를 제거하고, 클레오메네스가 축적한 막대한 재산을 손에 넣었다.[12]

2. 3. 디아도코이 전쟁

기원전 321년, 페르디카스는 이집트를 침공했으나 나일강에서 프톨레마이오스의 방어에 막혀 실패하고, 자신의 부하들에게 살해당했다.[13] 프톨레마이오스는 나일강을 건너 페르디카스의 군대에 보급품을 제공하고 섭정직을 제안받았으나, 권력 기반 확보를 위해 거절했다.[14][15]

이후 벌어진 디아도코이 간의 전쟁에서 프톨레마이오스는 이집트를 안전하게 지키고, 키레나이카키프로스, 시리아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기원전 318년 시리아를 점령하고 키프로스를 보호령으로 삼았으나, 기원전 315년 안티고노스 1세가 팽창하자 연합하여 전쟁을 벌이고 시리아에서 물러났다. 기원전 313년, 키프로스를 재정복하고 키레네의 반란을 진압했다.

기원전 312년, 프톨레마이오스와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는 시리아를 침공하여 가자 전투에서 안티고노스의 아들 데메트리오스를 격파했다. 그러나 데메트리오스가 승리하고 안티고노스가 대규모 병력으로 시리아에 진입하자, 프톨레마이오스는 다시 시리아에서 퇴각했다. 기원전 311년 평화가 체결되었으나, 알렉산드로스 4세가 암살당하면서 평화는 깨졌다.

기원전 309년 프톨레마이오스는 함대를 이끌고 리키아카리아의 해안 도시들을 점령하고, 그리스로 건너가 코린토스 등을 점령했다. 기원전 306년, 데메트리오스가 키프로스를 공격했고, 살라미스 해전에서 프톨레마이오스의 동생 메넬라우스가 패배하여 프톨레마이오스는 키프로스를 잃었다.

안티고노스와 데메트리오스가 왕을 칭하자, 프톨레마이오스도 기원전 305년 왕을 칭했다. 기원전 306년 겨울, 안티고노스의 이집트 침공을 막아냈고, 로도스 포위전에서 로도스를 지원하여 '소테르(구원자)' 칭호를 받았다.[16]

기원전 302년 안티고노스에 대한 연합이 재개되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연합에 가입하여 시리아를 침공했으나, 안티고노스의 승리 보고를 듣고 다시 철수했다. 그러나 기원전 301년 이프수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가 패배하고 전사하자, 시리아를 다시 점령했다.

연합의 다른 구성원들은 프톨레마이오스의 행동을 배신으로 간주하고 시리아 전체를 셀레우코스에게 할당하여, 이후 100년 동안 남부 시리아(특히 유대 지방)의 소유권을 두고 셀레우코스 왕조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사이에 전쟁이 반복되었다. 이후 프톨레마이오스는 소아시아와 그리스의 경쟁에 최대한 개입하지 않았고, 기원전 295년/기원전 294년에 키프로스를 재정복했다. 기원전 300년경에는 키레나이카를 정복하고 의붓아들 키레네의 마가스에게 맡겼다.

2. 4. 이집트의 통치자

기원전 305년 프톨레마이오스는 스스로 파라오로 즉위하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열었다.[34] 그는 이집트의 내정을 정비하고 여러 가지 선정을 베풀어 이집트인들의 환심을 샀다. 수도 알렉산드리아에 왕립 연구소(무세이온)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건설했다.[34] 기원전 305년에는 항구에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건설도 진행했다.[34]

그는 결혼 동맹으로 외교를 폈다. 기원전 300년 트라키아리시마코스와 동맹을 맺고 딸 아르시노에 2세와 결혼시키고 의붓딸인 테옥세나를 시라쿠사의 참주 아가토클레스에게 시집보냈으며, 기원전 296년경에는 오랜 라이벌 드미트리오스 폴리오르케테스와 딸 프톨레마이스와 약혼시켰다. 또 다른 강력한 군주 에페이로스의 피로스에게는 의붓딸인 안티고네를 주었다.

기원전 302년 안티고노스에 대항하는 연합군이 다시 결성되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이에 참가하여 시리아로 진격했고 기원전 301년 이프소스 전투에서 리시마코스와 셀레우코스 1세가 안티고노스를 격파하자 다시 시리아를 차지했다. 그러나 다른 동맹자들이 시리아에 대해 셀레우코스의 종주권을 인정했기 때문에 이스라엘 (특히 유대지방)에 대한 영토권을 두고 셀레우코스 왕조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사이의 분쟁이 다음 백 년간 지속되었다.

기원전 290년 그는 아내인 베레니케 1세를 이집트의 여왕으로 세우고 기원전 285년에는 둘째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2세를 공동 통치자이자 왕위 계승자로 임명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기원전 283년 겨울 83세의 나이로 알렉산드리아에서 죽었다. 왕위는 아들에게 순조롭게 넘어갔다.

3. 평가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혼란스러운 시기에 이집트를 안정적으로 통치하고, 헬레니즘 문화를 꽃피운 현명한 통치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재정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화폐제도를 도입했고 종교적 관용 정책을 펼쳤으며, 멤피스에서 이집트와 그리스 종교를 융합한 사라피스 의식을 정례화했다.[26] 또한 파괴된 신전들을 복구하고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알렉산드리아의 등대를 건립하는 등 예술과 학문 후원에도 힘썼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원정에 대한 역사서를 저술했는데, 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지만 아리아노스의 저술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다.[27] 아리아노스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왕이었기 때문에 거짓말을 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아 그의 기록을 신뢰했다.[29]

학문을 장려한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유클리드를 후원했는데, 유클리드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에게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32]

4. 가족 관계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여러 번 결혼했다. 수사 결혼식 기간 동안,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명령에 따라 페르시아 귀족 여성 아르타카마(Artakama)와 결혼했다.[17] 기원전 322년경에는 마케도니아의 섭정 안티파테로스(Antipater)의 딸인 에우리디케(Eurydice of Egypt)와 결혼하여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17]

배우자자녀
에우리디케(Eurydice of Egypt)



프톨레마이오스는 에우리디케의 사촌이자 시녀였던 베레니케 1세(Berenice I of Egypt)와 다시 결혼했다.[18]

배우자자녀
베레니케 1세(Berenice I of Egypt)



프톨레마이오스는 정부(情婦) 타이스(Thaïs)와의 사이에서도 세 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타이스는 그의 아내였을 가능성도 있다.[35]

배우자자녀
타이스(Thaïs)


5. 대중문화

올리버 스톤 감독의 2004년 역사 서사 영화 《알렉산더》에서 앤서니 홉킨스와 엘리엇 코완이 각각 노년과 청년 시절의 프톨레마이오스 1세를 연기했다. 영화 속에서 그는 용맹하고 과감한 지략가로 묘사되며, 이야기의 화자이기도 하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실제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전』을 저술했으며, 아리아누스는 이를 주요 사료 중 하나로 하여 『알렉산드로스 대왕 동정기』를 저술했다. 그러나 『대왕전』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화재 때 소실되어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그는 메리 르노의 소설 《알렉산더 3부작》에 조연으로 등장하며, 모바일 게임 《페이트 그랜드 오더》에 아처 클래스 서번트로 등장한다. 넷플릭스의 2024년 드라마 다큐멘터리 시리즈 《알렉산더: 신의 탄생》에서는 디노 켈리가 조역으로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Ptolemaic Empire Routledge
[2] 서적 Alexandre le Grand https://books.google[...] Librairie Droz 1962
[3] 웹사이트 Ptolemy I at Livius.org https://www.livius.o[...]
[4] 서적 Cleopatra: A Sourcebook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5] 서적 Philip II and Alexander The Great: Father and Son, Lives and Afterliv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6] 서적 Alexander The Great: Myth, Genesis and Sexuality
[7] 웹사이트 https://pothos.org/f[...] 2024-08-00
[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Blackwell Books
[9] 서적 Anabasis Alexandri (The Campaigns of Alexander) Penguin Books
[10] 웹사이트 The Remains of Alexander the Great: The God, The King, The Symbol http://digitalcommon[...] Constructing the Past 2019-03-28
[11] 서적 Alexander's Tomb: The Two-Thousand Year Obsession to Find the Lost Conqueror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2] 서적 Alexander to Actiu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간행물 Diodorus and the Date of Triparadeisu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06-00
[14] 서적
[15] 서적
[16] 웹사이트 Siege of Rhodes at Livius.org https://www.livius.o[...]
[17] 서적 Polygamy Prostitutes and Death. The Hellenistic Dynasties Gerald Duckworth & Co. Ltd. 1999
[18] 서적 Berenice II and the Golden Age of Ptolemaic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9] 서적 Hellenistic Queens Ares Publishers 1985
[20] 서적 A History of the Ptolemaic Empire https://archive.org/[...] Routledge
[21] 서적 Ptolemy II Philadelphus and his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08-10-16
[22] 서적 Parallel Lives http://www.attalus.o[...]
[23] 웹사이트 Berenice I at Livius.org https://www.livius.o[...] 2020-03-26
[24] 웹사이트 The Great Library of Alexandria? http://unllib.unl.ed[...] 2012-04-18
[25] 웹사이트 Ptolemaic Dynasty at World History Encyclopedia https://www.worldhis[...]
[26] 서적 Die Fragmente der griechischen Historiker, Teil 2, Zeitgeschichte. – B. Spezialgeschichten, Autobiographien und Memoiren, Zeittafeln [Nr. 106-261] Weidmann
[27] 서적 From Arrian to Alexander: Studies in Historical Interpre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Anabasis
[29] 서적 Anabasis
[30] 간행물 Bias in Ptolemy's History of Alexander 1969-01-01
[31] 간행물 Ptolemy and His Rivals in His History of Alexander 1984-01-01
[32] 서적 The Story of Medicine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33] 서적 ギリシア文化史8 筑摩学芸文庫
[34] 문서 프톨레마이오스 2세 시대에 완성되었다.
[35] 간행물 The Various Fathers of Ptolemy I https://www.jstor.or[...] 1997
[36] 서적 Ptolemy of Egypt Routledge 1994
[37] 웹사이트 The Deipnosophists http://attalus.org/o[...]
[38] 서적 Polygamy Prostitutes and Death. The Hellenistic Dynasties Gerald Duckworth & Co. Ltd.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